구동사

yield to 뜻, 예문 [구동사 한방에 정리하기]

언어조아호 2025. 3. 28. 14:55

yield to는 영어에서 ~에 굴복하다, ~에 따르다, 양보하다, 항복하다는 의미를 가진 구동사입니다. 이 표현은 물리적 상황뿐만 아니라 감정, 압력, 유혹, 권위, 법, 감정 등에 대해 저항하지 못하고 받아들이거나 따르는 상황에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yield to격식 있는 표현으로, 주로 글쓰기, 공식 문서, 뉴스, 연설 등에서 사용되며, 정서적·사회적·법적 맥락에서 의미를 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yield to의 기본 의미

 

1. ~에 굴복하다, 항복하다

• 어떤 힘, 압력, 감정, 상황 등에 더 이상 저항하지 못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 She finally yielded to temptation and ate the cake.

→ 그녀는 결국 유혹에 굴복하고 케이크를 먹었다.

 

2. ~에 양보하다, 길을 양보하다

• 특히 교통 상황에서 다른 차나 사람에게 우선권을 주는 경우에도 자주 쓰입니다.

• You must yield to oncoming traffic at the intersection.

→ 교차로에서 맞은편 차량에 양보해야 해요.

 


yield to 예문으로 배우기

문맥 예문 해석
유혹에 굴복 He yielded to the urge to check his phone. 그는 휴대폰을 확인하고 싶은 충동에 굴복했다.
권위에 복종 They yielded to the demands of the authorities. 그들은 당국의 요구에 따랐다.
감정에 압도됨 She yielded to tears during the speech. 그녀는 연설 도중 눈물을 참지 못했다.
교통에서 양보 Drivers must yield to pedestrians in a crosswalk. 운전자는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에게 양보해야 한다.
의견 대립 He refused to yield to political pressure. 그는 정치적 압력에 굴복하지 않았다.

 

 


yield to의 문법 구조

 

yield to자동사적 구동사이며, to 뒤에는 굴복하거나 양보하는 대상(명사)이 옵니다.

 

기본 구조:

yield to + 명사

• The soldier yielded to his injuries.

yielded to + 추상적 개념

• She yielded to fear in the face of danger.

수동적 뉘앙스 강조 가능

• The city finally yielded to the invading army.

 

과거형: yielded to, 과거분사: yielded to

 


yield to와 비슷한 표현 비교

표현 의미 차이점
give in to ~에 굴복하다 보다 비격식적이며 일상적인 표현
succumb to ~에 굴복하다 격식 있고 의학적·정서적 상황에 자주 사용
surrender to 항복하다 무력적인 패배에 더 가까운 느낌
bow to ~에 굴복하다 상징적 의미가 강하며 정치·사회 이슈에서 자주 사용
concede to 인정하고 양보하다 논리적·정치적 대립에서 타협의 의미 포함

 

yield to는 이들 표현 중에서 가장 중립적이며 격식 있는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쓰일 수 있는 표현입니다.

 


다양한 상황에서의 yield to 활용

 

1. 감정적 상황

• She yielded to grief after hearing the news.

→ 그녀는 그 소식을 듣고 슬픔에 무너졌다.

 

2. 사회적·정치적 맥락

• The government yielded to public pressure.

→ 정부는 대중의 압력에 굴복했다.

 

3. 교통 규칙

• Yield to traffic from the right.

→ 오른쪽에서 오는 차량에 양보하세요.

 

4. 인간관계 및 설득

• Eventually, he yielded to his wife’s wishes.

→ 결국 그는 아내의 뜻을 따랐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yield to은 항상 부정적인 의미인가요?

→ 아니요. 긍정적인 수용이나 존중의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 “He yielded to her wisdom.”

 

Q2. yield to과 give in to의 차이는?

give in to는 더 비격식적이고 감정적이며, yield to는 격식 있고 중립적인 표현입니다.

 

Q3. 교통표지에 ‘Yield’는 무슨 뜻인가요?

‘양보하라’는 뜻으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우선권을 주라는 의미입니다.

 

Q4. yield to는 명사와만 쓰이나요?

→ 대부분 to 뒤에는 명사나 동명사(doing)가 옵니다.

예: “yield to temptation”, “yield to crying”

 

Q5. 비즈니스 이메일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 네. 예: “We cannot yield to these unfair terms.”

 

Q6. 수동태로도 사용할 수 있나요?

→ 일반적으로는 능동형이 자연스럽지만, 문학적·서사적 표현에서는 수동태도 가능합니다.

 


마무리

 

yield to는 영어에서 감정, 유혹, 권력, 압력 등 다양한 요소에 굴복하거나 양보하는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격식 있고 표현력 있는 구동사입니다. 교통, 정치, 관계, 감정 등 다양한 상황에 걸쳐 자연스럽게 사용되며, 겸손함, 타협, 혹은 저항의 포기를 문학적으로도 표현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스스로를 통제하려 했지만 결국 굴복하는 순간, 영어로는 이렇게 표현합니다 —

“I yielded to it.”

이 한 마디에 복잡한 감정과 상황이 담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