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칼럼

《Dracula》(드라큘라) 원서 난이도 분석 – 얼마나 어려울까?

언어조아호 2025. 3. 19. 13:54

드라큘라
https://www.amazon.com/Dracula-Bram-Stoker-ebook/dp/B00INITSM2

 

브램 스토커(Bram Stoker)의 《Dracula》(1897, 드라큘라) 는 현대 뱀파이어 문학의 시초가 된 작품으로, 공포 소설이면서도 빅토리아 시대의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편지, 일기, 신문 기사 형식으로 구성된 서간체 소설(epistolary novel) 이며, 시대적 배경과 문체로 인해 현대 영어 원서보다 읽기 난이도가 높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Lexile 지수, 문장 난이도, 학년 수준, 예시 문장 분석 등을 통해 《Dracula》 원서 난이도를 상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1. 객관적 난이도 분석 – Lexile 지수와 학년 수준

책 제목 Lexile 지수 미국 학년 수준
Dracula 970L 9~12학년 (고등학생 수준)
Frankenstein (프랑켄슈타인) 1040L 10~대학 1학년
The Picture of Dorian Gray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920L 9~12학년
Pride and Prejudice (오만과 편견) 1100L 11~대학 1학년
The Strange Case of Dr Jekyll and Mr Hyde (지킬 박사와 하이드) 890L 8~11학년

 

📌 해석 및 비교

Lexile 970L 로, 일반적으로 고등학생 수준(미국 9~12학년, 한국 고1~고3) 에 적합한 난이도입니다.

《Frankenstein》(1040L)보다 약간 쉬운 수준이지만, 빅토리아 시대 특유의 문어체적 표현과 복잡한 문장 때문에 체감 난이도는 높을 수 있습니다.

• 편지 형식(서간체)로 쓰여 있어 서술자의 문체가 다르게 나타나는 점도 난이도를 높이는 요소입니다.

빅토리아 시대 영어 표현과 문장 구조에 익숙하지 않다면, 중급 이상이 되어야 원활한 독해가 가능합니다.

 


2. 난이도를 높이는 주요 요소

 

(1) 문장 구조 – 고전적인 문어체와 긴 문장

 

브램 스토커는 빅토리아 시대의 정중하고 문어적인 문체를 사용하며, 긴 문장과 복잡한 구문이 특징입니다.

 

예시 문장 ① – 긴 문장과 복잡한 구조

 

“I saw the whole man slowly emerge from the window and began to crawl down the castle wall over that dreadful abyss, face down, with his cloak spreading out around him like great wings.”

“slowly emerge from the window”, “crawl down the castle wall”, “face down” 등의 긴 구문이 한 문장 안에 나열됨.

분사구문과 다양한 수식어가 많아 초보자가 읽기에 부담스러울 수 있음.

 

예시 문장 ② – 문어체적 표현

 

“We are in Transylvania, and Transylvania is not England. Our ways are not your ways, and there shall be to you many strange things.”

“Our ways are not your ways” 같은 고전적이고 문어체적인 표현이 등장.

• 현대 영어에서는 다소 어색한 어순이지만, 당시 문체를 반영한 문장.

 

예시 문장 ③ – 서간체 특유의 문체 변화

 

“Jonathan Harker’s Journal – 3 May. Bistritz. Left Munich at 8:35 P.M. on 1st May, arriving at Vienna early next morning; should have arrived at 6:46, but train was an hour late.”

서간체 소설이기 때문에, 저널(일기) 형식의 문장이 등장.

• 서술자의 성격에 따라 문장이 건조하거나, 감정적이거나, 극적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음.

 

문장 구조가 복잡하고 문어체적인 표현이 많아 초보자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어휘 난이도 – 고전적이고 생소한 단어 포함

 

《Dracula》는 19세기 말 영어로 쓰였기 때문에 현대 영어와 다른 고전적 표현, 생소한 단어가 많습니다.

 

예시 단어 및 개념

단어 의미 난이도
Abyss 심연, 깊은 구렁 어려움
Gaunt 창백한, 수척한 어려움
Lurid 음산한, 충격적인 어려움
Phosphorescent 인광을 내는 어려움
Malady 질병, 병폐 어려움

 

• 현대 영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단어가 많아 사전을 찾아야 할 가능성이 높음.

“gaunt”(수척한), “malady”(병폐) 같은 단어는 문맥을 통해 유추할 수 있지만, 처음 접하는 독자에게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음.

 

고전적인 단어와 생소한 표현이 많아 사전이 필요할 가능성이 큼.

 


(3) 서술 방식 – 서간체 소설의 특성

 

《Dracula》는 일반적인 소설과 다르게 서간체(epistolary novel) 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등장인물의 관점이 번갈아 가며 서술됩니다.

 

서술 방식의 특징

1. 서간체 형식

일기, 편지, 신문 기사 등의 형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됨.

다양한 인물의 시점이 교차되기 때문에 서술 스타일이 다름.

2. 서스펜스 강조

• 공포 소설 특성상 긴장감 조성을 위한 묘사가 많음.

“I felt a chill run down my spine” 같은 감각적 묘사가 자주 등장.

3. 빅토리아 시대의 사회적 배경 반영

• 영국과 동유럽(트란실바니아)의 문화적 차이, 과학과 미신의 대립 같은 주제가 포함됨.

 

서간체 형식과 다양한 서술 스타일로 인해 읽는 데 집중력이 필요합니다.

 


3. 결론 – 《Dracula》 원서, 읽을 만할까?

 

📌 권장 수준

CEFR 기준 B2~C1 (중상급자 추천)

Lexile 970L → 고1~고3 수준

토익 750점 이상, 토플 iBT 80점 이상 추천

 

📌 읽기 추천 대상

✅ 고전 공포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

✅ 서간체 형식의 색다른 원서를 읽고 싶은 독자

✅ 긴 문장과 문어체적 표현을 학습하고 싶은 독자

 

📌 추천 학습 방법

1. 서간체 형식에 익숙해지기 – 다양한 서술 방식이 섞여 있으므로 인물별 문체 차이를 이해하며 읽어야 함.

2. 어휘 정리 후 읽기 – 빅토리아 시대의 단어가 많아 사전이 필수적임.

3. 영화/드라마 활용 – 여러 번 영화화된 작품이므로 영상과 함께 보면 이해가 쉬움.

 

📌 읽기 난이도 총평

✅ 문장은 길고 문어체적 표현이 많아 초보자에게는 어려울 수 있음.

✅ 서간체 형식과 다양한 서술 방식이 등장하여 집중력이 필요함.

✅ 그러나 공포와 서스펜스를 즐긴다면 충분히 도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