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칼럼

《Frankenstein》(프랑켄슈타인) 원서 난이도 분석 – 얼마나 어려울까?

언어조아호 2025. 3. 19. 13:55

프랑켄슈타인
https://www.amazon.com/Frankenstein-Mary-Shelley/dp/0486282112

 

메리 셸리(Mary Shelley)의 《Frankenstein》(1818, 프랑켄슈타인)최초의 SF 소설이자, 철학적·도덕적 질문을 던지는 고전 문학으로 평가받습니다.

단순한 공포 소설이 아니라 인간 존재, 과학과 윤리, 창조와 책임 같은 주제를 다루며, 문체와 문장 구조가 상당히 난해한 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Lexile 지수, 문장 난이도, 학년 수준, 예시 문장 분석 등을 통해 《Frankenstein》 원서 난이도를 상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1. 객관적 난이도 분석 – Lexile 지수와 학년 수준

책 제목 Lexile 지수 미국 학년 수준
Frankenstein 1040L 10~대학 1학년
Dracula (드라큘라) 970L 9~12학년
The Picture of Dorian Gray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920L 9~12학년
Pride and Prejudice (오만과 편견) 1100L 11~대학 1학년
The Strange Case of Dr Jekyll and Mr Hyde (지킬 박사와 하이드) 890L 8~11학년

 

📌 해석 및 비교

Lexile 1040L 로, 일반적으로 고등학생대학생 수준(미국 10~대학 1학년, 한국 고2~대학생) 에 적합한 난이도입니다.

《Dracula》(970L), 《The Picture of Dorian Gray》(920L)보다 어렵고, 《Pride and Prejudice》(1100L)보다는 약간 쉬운 수준입니다.

빅토리아 시대 문어체적 표현, 긴 문장, 철학적 주제 때문에 체감 난이도는 훨씬 높을 수 있습니다.

• 서간체 형식(Epistolary novel)과 액자 소설 구조(Frame Story) 로 인해 읽는 데 집중력이 필요합니다.

 


2. 난이도를 높이는 주요 요소

 

(1) 문장 구조 – 복잡한 문장과 고전적 문어체

 

메리 셸리는 19세기 문학적 문체를 사용하며, 매우 긴 문장, 복잡한 구문, 철학적 표현이 많습니다.

 

예시 문장 ① – 긴 문장과 고급 어휘

 

“I am alone and miserable; man will not associate with me; but one as deformed and horrible as myself would not deny herself to me.”

• 문장 자체는 짧지만 “deformed and horrible as myself” 같은 고전적인 표현 방식과 문어체적인 어순이 등장.

• 괴물이 인간과 어울리지 못하는 사회적 소외와 고립의 주제를 드러내는 문장.

 

예시 문장 ② – 복잡한 문장 구조

 

“The different accidents of life are not so changeable as the feelings of human nature.”

“accidents of life”(삶의 우연한 사건들)과 “feelings of human nature”(인간 본성의 감정들) 을 대비하여 삶의 불안정성을 강조.

문장이 직관적이지 않아 해석이 어려울 수 있음.

 

예시 문장 ③ – 과장된 감정 표현과 수사법

 

“Nothing is so painful to the human mind as a great and sudden change.”

“Nothing is so painful… as” 같은 극적인 표현 방식이 등장.

• 인간 심리에 대한 철학적인 논의를 담고 있음.

 

《Frankenstein》은 문장이 길고 문어체적인 표현이 많아 초보자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어휘 난이도 – 고급 어휘와 철학적 개념 포함

 

《Frankenstein》은 일반적인 고전 문학보다 난해한 어휘가 많고, 과학적·철학적 개념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시 단어 및 개념

단어 의미 난이도
Daemon 악마, 괴물 어려움
Omnipotent 전능한 어려움
Countenance 얼굴 표정 어려움
Exhortation 권고, 설득 어려움
Inexorable 피할 수 없는, 가혹한 어려움

 

고전 문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문어체 단어(exhortation, countenance 등)가 많음.

• 현대 영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inexorable(가혹한, 피할 수 없는), daemon(악마) 같은 단어들이 등장.

 

어휘 자체가 어렵고, 철학적 개념이 많아 사전이 필요할 가능성이 큼.

 


(3) 서술 방식 – 액자 소설 구조와 철학적 논의

 

《Frankenstein》은 액자 소설(Frame Story)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단순한 이야기보다 복잡한 구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서술 방식의 특징

1. 액자 소설 구조

• 이야기 속에 또 다른 이야기가 들어가는 다층적 서술 방식을 사용.

• “로버트 월튼 → 빅터 프랑켄슈타인 → 괴물” 순서로 이야기가 전개됨.

2. 철학적·도덕적 논의

• “인간은 신과 같은 창조자가 될 수 있는가?” 같은 윤리적 질문을 던짐.

• 괴물이 인간보다 더 철학적이고 문학적인 언어를 사용함.

3. 19세기 문어체와 감성적인 표현

• 극적인 감정 표현과 빅토리아 시대 특유의 정중한 문체가 많음.

 

구성이 복잡하고 철학적 대화가 많아 깊이 있는 독해가 필요합니다.

 


3. 결론 – 《Frankenstein》 원서, 읽을 만할까?

 

📌 권장 수준

CEFR 기준 B2~C1 (중상급자 추천)

Lexile 1040L → 고2~대학 1학년 수준

토익 800점 이상, 토플 iBT 90점 이상 추천

 

📌 읽기 추천 대상

✅ 고전 문학을 좋아하는 독자

✅ SF와 철학적 주제에 관심 있는 독자

✅ 긴 문장과 문어체적 표현을 학습하고 싶은 독자

 

📌 추천 학습 방법

1. 서술 방식에 익숙해지기 – 액자 소설 구조를 먼저 이해하면 독해가 쉬워짐.

2. 어휘 정리 후 읽기 – 철학적·문어체적 단어가 많으므로 사전 활용이 필수적임.

3. 주석이 포함된 판본 활용 – 해설이 있는 판본을 선택하면 문학적 이해가 쉬워짐.

 

📌 읽기 난이도 총평

✅ 문장은 길고 문어체적 표현이 많아 초보자에게는 어려울 수 있음.

✅ 철학적 개념과 윤리적 주제가 포함되어 있어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함.

✅ 그러나 SF와 고전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충분히 도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