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신의 정도(Degrees of Certainty)는 어떤 사건이나 상황에 대해 얼마나 확신하는지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영어에서는 조동사(modal verbs), 부사(adverbs), 구 표현(phrases) 등을 사용하여 확실함(certain), 가능성(possibility), 불확실함(uncertainty)을 표현합니다. 이 글에서는 확신의 정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과 그 사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1. 확신의 정도(Degrees of Certainty)의 정의
확신의 정도란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나 사실일 확률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이는 현재, 과거, 미래에 대한 추측, 가능성, 확실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문:
• She must be at home.
(그녀는 분명 집에 있을 것이다.)
• He might come to the party.
(그는 파티에 올지도 모른다.)
• They can’t be serious.
(그들이 진지할 리 없다.)
2. 확신의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
확신의 정도는 조동사(modal verbs), 부사(adverbs), 그리고 표현(phrases)을 통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3. 조동사를 통한 확신의 정도(Modal Verbs for Degrees of Certainty)
3.1 높은 확신(High Certainty)
1. Must – 분명 ~일 것이다 (강한 확신)
• She must be tired after the long trip.
(그녀는 긴 여행 후에 분명 피곤할 것이다.)
2. Can’t / Cannot – ~일 리 없다 (강한 부정의 확신)
• He can’t be the thief.
(그가 도둑일 리 없다.)
3. Will – 틀림없이 ~할 것이다 (미래에 대한 확신)
• It will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 것이다.)
3.2 중간 확신(Medium Certainty)
1. Should / Ought to – 아마도 ~일 것이다 (높은 가능성)
• She should arrive by now.
(그녀는 지금쯤 도착했을 것이다.)
2. Would – ~일 텐데 (가정적 확신)
• He would help if he could.
(그가 할 수 있다면 도왔을 텐데.)
3.3 낮은 확신(Low Certainty / Possibility)
1. Might / May / Could – 아마 ~일지도 모른다 (불확실성)
• She might be at the library.
(그녀는 도서관에 있을지도 모른다.)
• It may snow tonight.
(오늘 밤에 눈이 올지도 모른다.)
• He could be the one who called.
(그가 전화한 사람일 수도 있다.)
4. 부사를 통한 확신의 정도(Adverbs for Degrees of Certainty)
부사는 조동사 없이도 확신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조동사와 함께 사용하여 확신의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4.1 높은 확신(High Certainty)
1. Definitely – 확실히, 분명히
• She is definitely coming to the party.
(그녀는 확실히 파티에 올 것이다.)
2. Certainly – 틀림없이, 분명히
• He will certainly pass the exam.
(그는 틀림없이 시험에 합격할 것이다.)
3. Undoubtedly – 의심할 여지 없이
• This is undoubtedly the best solution.
(이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최선의 해결책이다.)
4.2 중간 확신(Medium Certainty)
1. Probably – 아마도
• She will probably be late.
(그녀는 아마 늦을 것이다.)
2. Likely – ~할 가능성이 크다
• It is likely that he will accept the offer.
(그가 그 제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다.)
4.3 낮은 확신(Low Certainty)
1. Possibly – 아마, 어쩌면
• He might possibly be at home.
(그는 아마 집에 있을지도 모른다.)
2. Perhaps – 아마도
• Perhaps they forgot about the meeting.
(그들은 아마 회의를 잊었을지도 모른다.)
3. Maybe – 어쩌면
• Maybe she will call later.
(어쩌면 그녀가 나중에 전화할지도 모른다.)
5. 표현(구문)을 통한 확신의 정도(Phrases for Degrees of Certainty)
5.1 높은 확신(High Certainty)
1. I’m sure that… – 나는 ~을 확신한다
• I’m sure that he will succeed.
(나는 그가 성공할 것을 확신한다.)
2. There is no doubt that… – ~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 There is no doubt that she is the best candidate.
(그녀가 최고의 후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
3. It’s obvious that… – ~은 분명하다
• It’s obvious that they made a mistake.
(그들이 실수한 것은 분명하다.)
5.2 중간 확신(Medium Certainty)
1. I think that… – 나는 ~라고 생각한다
• I think that they will win the game.
(나는 그들이 경기를 이길 것이라고 생각한다.)
2. It seems that… – ~인 것 같다
• It seems that she is busy today.
(그녀는 오늘 바쁜 것 같다.)
5.3 낮은 확신(Low Certainty)
1. I guess that… – 나는 ~라고 추측한다
• I guess that he might be late.
(나는 그가 늦을지도 모른다고 추측한다.)
2. It’s possible that… – ~일 가능성이 있다
• It’s possible that they forgot the appointment.
(그들이 약속을 잊었을 가능성이 있다.)
3. I’m not sure if… – ~인지 확실하지 않다
• I’m not sure if he will come.
(그가 올지 확실하지 않다.)
6. 조동사와 부사의 조합
조동사와 부사를 함께 사용하면 확신의 정도를 더욱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문:
• She will definitely come to the meeting.
(그녀는 확실히 회의에 올 것이다.)
• He might possibly be at home.
(그는 어쩌면 집에 있을지도 모른다.)
• They can’t possibly be serious.
(그들이 진지할 리가 없다.)
7. 확신의 정도에 따른 예문 정리
1. 높은 확신 (High Certainty):
• She must be at work now. (그녀는 지금 분명 직장에 있을 것이다.)
• He will definitely win the race. (그는 분명 경주에서 이길 것이다.)
• I’m sure that it will rain tomorrow. (나는 내일 비가 올 것을 확신한다.)
2. 중간 확신 (Medium Certainty):
• She should be here by now. (그녀는 지금쯤 여기에 있어야 한다.)
• It’s likely that he will accept the offer. (그가 그 제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다.)
• I think they will come. (나는 그들이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3. 낮은 확신 (Low Certainty):
• She might be at home. (그녀는 집에 있을지도 모른다.)
• Perhaps they missed the bus. (그들은 아마 버스를 놓쳤을지도 모른다.)
• I’m not sure if he will come. (그가 올지 확실하지 않다.)
8. 결론
확신의 정도(Degrees of Certainty)는 영어에서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확신의 강도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조동사(modal verbs), 부사(adverbs), 표현(phrases) 등을 적절히 사용하면 강한 확신, 중간 확신, 낮은 확신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상황과 문맥에 맞게 다양한 확신 표현을 활용하면 더욱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영어 구사가 가능합니다.
'영어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동태 vs. 수동태 (Active vs. Passive Voice) [영어 문법 완벽 정리] (0) | 2025.02.13 |
---|---|
형용사절(Adjective Clauses):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영어 문법 완벽 정리] (0) | 2025.02.13 |
한정사 사용(Derminer Use in Context): 관사, 지시사, 소유격, 수량사, 수사, 불특정 한정사, 관계 한정사 [영어 문법 완벽 정리] (0) | 2025.02.13 |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 who, whom, whose, which, that) [영어 문법 완벽 정리] (0) | 2025.02.12 |
동사 + -ing형 vs. 동사 + to부정사 [영어 문법 완벽 정리] (1)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