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문법

능동태 vs. 수동태 (Active vs. Passive Voice) [영어 문법 완벽 정리]

언어조아호 2025. 2. 13. 23:27
반응형

능동태(Active Voice)수동태(Passive Voice)는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 목적어의 관계를 나타내는 두 가지 중요한 문법 구조입니다. 능동태주어가 행동을 수행하는 구조이고, 수동태주어가 행동을 당하는 구조입니다. 이 글에서는 능동태와 수동태의 정의, 사용법, 변환 규칙, 그리고 예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1. 능동태(Active Voice)와 수동태(Passive Voice)의 정의

 

1.1 능동태(Active Voice)

 

능동태는 문장에서 주어가 직접 동작을 수행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주어 → 동사 → 목적어 순으로 구성됩니다.

 

구조:

주어 + 동사 + 목적어

 

예문:

The chef cooked the meal.

(요리사가 식사를 준비했다.)

She wrote a letter.

(그녀가 편지를 썼다.)

 

1.2 수동태(Passive Voice)

 

수동태는 문장에서 주어가 동작을 당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목적어가 문장의 주어 자리로 이동하고, be동사 + 과거분사(p.p.) 형태로 동사가 변환됩니다.

 

구조:

주어 + be동사 + 과거분사(p.p.) + (by + 행위자)

 

예문:

The meal was cooked by the chef.

(식사가 요리사에 의해 준비되었다.)

A letter was written by her.

(편지가 그녀에 의해 쓰였다.)

2. 능동태와 수동태의 변환 규칙(Conversion Rules)

 

능동태 문장을 수동태로 변환할 때는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2.1 변환 단계

1. 목적어를 주어 자리로 이동:

능동태: The teacher explained the lesson.

수동태: The lesson → 주어로 이동

2. be동사 추가 및 시제 일치:

현재 시제: is/are + p.p.

과거 시제: was/were + p.p.

미래 시제: will be + p.p.

현재완료: has/have been + p.p.

3. 동사를 과거분사(p.p.) 형태로 변환:

explainedexplained (과거분사)

4. 행위자(주어)를 by로 표시 (선택적):

by the teacher (선택적으로 포함 가능)

 

최종 변환 예문:

The lesson was explained by the teacher.

(그 수업은 선생님에 의해 설명되었다.)

 

2.2 시제별 변환 규칙

능동태 시제수동태 시제예문(능동태) 예문(수동태)
현재 단순 (do/does) am/is/are + p.p. She writes a letter. A letter is written by her.
과거 단순 (did) was/were + p.p. They built the house. The house was built by them.
미래 단순 (will) will be + p.p. He will fix the car. The car will be fixed by him.
현재 진행 (is/are doing) am/is/are being + p.p. She is reading a book. A book is being read by her.
과거 진행 (was/were doing) was/were being + p.p. They were watching a movie. A movie was being watched by them.
현재완료 (has/have done) has/have been + p.p. He has completed the project. The project has been completed by him.
조동사 + 동사 (can/may) can/may be + p.p. She can solve the problem.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her.

3. 수동태를 사용하는 경우(When to Use Passive Voice)

 

3.1 행위자를 강조할 필요가 없을 때

 

행위를 수행한 사람이 중요하지 않거나 알 수 없을 때 수동태를 사용합니다.

 

예문:

The window was broken.

(창문이 깨졌다.)

(누가 깼는지는 중요하지 않거나 모를 때)

 

3.2 행위보다 결과를 강조할 때

 

행위의 결과가 중요할 때 수동태를 사용합니다.

 

예문:

The project was completed on time.

(프로젝트가 제시간에 완료되었다.)

(누가 했는지보다 완료된 사실이 중요할 때)

 

3.3 공식적인 글쓰기나 과학적, 기술적 보고서에서

 

공식 문서나 과학적 글쓰기에서는 수동태를 자주 사용하여 객관성을 유지합니다.

 

예문: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controlled conditions.

(실험은 통제된 조건 하에 수행되었다.)

 

3.4 모호성을 피하고 싶을 때

 

책임을 회피하거나 누가 행동을 했는지 명확하게 밝히고 싶지 않을 때 수동태를 사용합니다.

 

예문:

Mistakes were made.

(실수가 있었다.)

(누가 실수했는지 명확히 밝히지 않음)

4. 능동태와 수동태 사용 시 주의할 점

1. 목적어가 없는 자동사는 수동태로 변환할 수 없음:

자동사: sleep, arrive, go, happen

Incorrect: He is arrived by the bus.

Correct: He arrived by the bus. (자동사는 수동태로 사용 불가)

2. by + 행위자는 선택사항:

The cake was eaten. (누가 먹었는지 중요하지 않을 때)

The cake was eaten by John. (행위자를 강조하고 싶을 때)

3. 수동태에서 동사의 시제 일치를 주의:

능동태: They are cleaning the room.

수동태: The room is being cleaned. (현재 진행형은 being + p.p. 사용)

5. 능동태와 수동태의 비교(Comparison of Active and Passive Voice)

능동태 (Active Voice) 수동태 (Passive Voice)
The teacher explains the lesson. The lesson is explained by the teacher.
She wrote a letter. A letter was written by her.
They will deliver the package tomorrow. The package will be delivered tomorrow.
He has repaired the car. The car has been repaired by him.
They are watching a movie. A movie is being watched by them.

6. 예문 정리

1. 현재 시제:

Active: She writes emails every day.

Passive: Emails are written by her every day.

2. 과거 시제:

Active: He painted the house last week.

Passive: The house was painted by him last week.

3. 미래 시제:

Active: They will announce the results tomorrow.

Passive: The results will be announced tomorrow.

4. 현재 진행형:

Active: She is cleaning the room.

Passive: The room is being cleaned by her.

5. 현재완료:

Active: They have finished the project.

Passive: The project has been finished by them.

7. 결론

 

능동태(Active Voice)주어가 직접 행동을 수행하는 문장 구조로, 직설적이고 간결한 표현에 사용됩니다. 반면, 수동태(Passive Voice)주어가 행동을 당하는 구조로, 결과나 과정을 강조하거나 행위자가 중요하지 않을 때 사용됩니다. 시제에 따라 be동사의 형태와 과거분사를 적절히 사용하여 올바른 수동태 문장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능동태와 수동태의 적절한 사용은 문장의 명확성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