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문법

[영어 문법 완벽 정리] 주어-동사 수 일치 (Subject-Verb Agreement)

언어조아호 2024. 12. 19. 11:26

영어 문법에서 주어와 동사의 수가 일치하는 것은 문장의 정확성을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기본 원칙입니다. 주어가 단수인지 복수인지에 따라 동사의 형태가 달라지며, 이는 영어 문장을 작성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주어-동사 수 일치의 기본 규칙과 다양한 예외 상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1. 기본 규칙: 단수 주어와 단수 동사, 복수 주어와 복수 동사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단수 주어는 단수 동사와, 복수 주어는 복수 동사와 결합된다는 것입니다. 단수 동사는 보통 “-s”가 붙은 형태이고, 복수 동사는 기본 형태를 유지합니다.

단수 주어 + 단수 동사

예: The dog runs fast.

해석: 그 개는 빠르게 달린다.

→ 주어 “dog”는 단수이므로 동사 “runs”에 “-s”가 붙습니다.

복수 주어 + 복수 동사

예: The dogs run fast.

해석: 그 개들은 빠르게 달린다.

→ 주어 “dogs”는 복수이므로 동사 “run”의 기본 형태를 사용합니다.

 

2. 복합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

 

두 개 이상의 주어가 “and”로 연결되면 보통 복수 주어로 간주되며, 복수 동사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and”로 연결된 주어가 하나의 개념이나 단일 항목으로 간주될 경우 단수 동사를 사용합니다.

복수 주어의 경우

예: Sarah and Tom are coming to the party.

해석: 사라와 톰이 파티에 온다.

→ “Sarah”와 “Tom”은 두 명의 사람이므로 복수 동사 “are”를 사용합니다.

단일 개념으로 간주되는 경우

예: Peanut butter and jelly is my favorite snack.

해석: 땅콩버터와 젤리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간식이다.

→ “Peanut butter and jelly”는 하나의 단일 음식으로 간주되므로 단수 동사 “is”를 사용합니다.

 

3. “Or” 또는 “Nor”로 연결된 주어

 

“Or” 또는 “Nor”로 연결된 주어의 경우, 동사는 가장 가까운 주어와 일치해야 합니다.

가까운 주어가 단수인 경우

예: Neither the manager nor the employee is available.

해석: 매니저도 직원도 시간이 없다.

→ 가장 가까운 주어 “employee”가 단수이므로 단수 동사 “is”를 사용합니다.

가까운 주어가 복수인 경우

예: Either the students or the teacher is responsible.

해석: 학생들이나 선생님이 책임이 있다.

→ 가장 가까운 주어 “teacher”가 단수이므로 단수 동사 “is”를 사용합니다.

 

4. 집합명사 (Collective Nouns)

 

집합명사는 그룹 전체를 하나의 단일체로 간주할 때 단수 동사를 사용하며, 구성원 개개인을 강조할 때 복수 동사를 사용합니다.

단수로 간주되는 경우

예: The team is winning the match.

해석: 그 팀이 경기를 이기고 있다.

→ “team”을 하나의 단일체로 보고 단수 동사 “is”를 사용합니다.

복수로 간주되는 경우

예: The team are arguing among themselves.

해석: 그 팀은 서로 다투고 있다.

→ “team”의 구성원을 개별적으로 강조하므로 복수 동사 “are”를 사용합니다.

 

5. 불가산 명사와 동사의 일치

 

불가산 명사는 항상 단수 취급되며 단수 동사와 결합됩니다.

• 예: The information is accurate.

해석: 그 정보는 정확하다.

→ “information”은 불가산 명사이므로 단수 동사 “is”를 사용합니다.

• 예: The furniture was delivered yesterday.

해석: 그 가구는 어제 배달되었다.

→ “furniture”는 불가산 명사이므로 단수 동사 “was”를 사용합니다.

 

6. 특정 표현에서의 수 일치

“Each,” “Every,” “Either,” “Neither”와 같은 단어

이 단어들은 항상 단수 동사와 결합됩니다.

예: Each of the students has a schedule.

해석: 각 학생은 일정표를 가지고 있다.

→ “Each”는 항상 단수 동사 “has”를 요구합니다.

“Some,” “All,” “None,” “Most”와 같은 단어

명사의 수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 동사가 결정됩니다.

예: Some of the water is dirty.

해석: 물의 일부가 더럽다.

→ “water”는 불가산 명사이므로 단수 동사 “is”를 사용합니다.

예: Some of the students are absent.

해석: 학생들 중 일부가 결석했다.

→ “students”는 복수 명사이므로 복수 동사 “are”를 사용합니다.

 

7. 문법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의 수 일치

수식어구가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를 방해하는 경우

주어에 수식어구가 추가되더라도, 주어의 본질적인 수에 따라 동사가 결정됩니다.

예: The bouquet of flowers is beautiful.

해석: 꽃다발이 아름답다.

→ “of flowers”는 주어 “bouquet”를 수식하는 전치사구일 뿐, 동사 형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복잡한 문장에서의 수 일치

예: The book that includes many illustrations is expensive.

해석: 많은 삽화를 포함한 그 책은 비싸다.

→ 주어는 “The book”이므로 단수 동사 “is”를 사용합니다.

 

결론

 

주어-동사 수 일치(Subject-Verb Agreement)는 영어 문법의 핵심 규칙 중 하나로, 정확한 문장 작성을 위해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주어가 단수인지 복수인지, 집합명사가 단일체로 간주되는지 또는 개별 구성원을 나타내는지, “or” 또는 “nor”로 연결된 주어의 순서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규칙과 예외를 이해하면 더 정확하고 유창한 영어 문장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