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칼럼

《Through the Looking-Glass》(거울 나라의 앨리스) 원서 난이도 분석 – 얼마나 어려울까?

언어조아호 2025. 5. 23. 10:39

거울 나라의 앨리스

 

루이스 캐럴(Lewis Carroll)의 《Through the Looking-Glass and What Alice Found There》(1871) 는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의 후속작으로, 거울을 통과해 반대 세계에 들어간 앨리스의 모험을 다룬 작품입니다.

1권보다 더 복잡한 구조와 언어 유희, 말장난, 철학적 대화, 그리고 논리 게임이 많아, 텍스트의 해석과 상징 이해가 더 까다로운 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Lexile 지수, 문장 구조, 어휘 수준, 예시 문장 분석 등을 통해 《Through the Looking-Glass》 원서 난이도를 자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1. 객관적 난이도 분석 – Lexile 지수와 학년 수준

 

책 제목 Lexile 지수 미국 학년 수준
Through the Looking-Glass 940L 5~8학년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880L 4~7학년
The Phantom Tollbooth 1000L 5~9학년
The Wind in the Willows 1140L 7~10학년
The Secret Garden 970L 5~8학년

 

  • Lexile 940L, 미국 기준 5~8학년, 한국 기준 중1~중3 수준입니다.
  • 1권보다 문장은 비슷하지만, 내용의 복잡성, 철학적 깊이, 상징성은 오히려 높아져 체감 난이도는 더 높습니다.
  • 말장난, 시적 구조, 체스 비유와 같은 메타적 장치가 있어 의미 파악을 위한 해석력이 필수입니다.

 


 

2. 난이도를 높이는 주요 요소

 

 

(1) 문장 구조 – 짧고 명확하지만 개념은 추상적

 

루이스 캐럴은 아동 독자를 위한 문장을 사용하면서도, 개념적 전복, 언어적 혼란을 유도하는 대사를 통해 독자의 논리 사고를 자극합니다.

 

예시 문장 ① – 구조는 쉽지만 내용은 철학적

 

“I can’t go back to yesterday — because I was a different person then.”

 

  • 문법적으로는 단순하지만, 정체성과 시간에 대한 철학적 명제가 숨어 있음.

 

예시 문장 ② – 반복되는 말장난

 

”‘The name of the song is called “Haddocks’ Eyes.”’”

 

  • 문장은 짧지만, ‘이름의 이름’이라는 개념으로 중첩적 의미 구성을 시도.
  • 언어 구조 자체를 문제 삼는 대화는 초급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음.

 

예시 문장 ③ – 동시적 사건 표현

 

“It’s a poor sort of memory that only works backwards.”

 

  • 기억이 앞으로도 작동해야 한다는 비논리적 명제를 자연스럽게 사용.
  • 문장은 짧지만 맥락 해석은 어려움.

 

문장 해석은 쉬운 편이나, 독자의 상상력과 개념 이해도가 난이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2) 어휘 난이도 – 조어와 언어 유희 중심

 

《Through the Looking-Glass》는 특히 유명한 시 ‘Jabberwocky’ 를 포함하고 있으며, 작가가 직접 만든 단어(portmanteau word)조어가 다수 등장합니다.

 

단어 의미 난이도
Jabberwocky 허구의 괴물 또는 말이 안 되는 말 어려움
Brillig (조어) 저녁 시간쯤 어려움
Slithy 미끄럽고 날렵한 어려움
Galumphing 성큼성큼 걷는 중간
Looking-glass 거울 쉬움

 

  • 단어 자체는 실제 사전에는 없는 경우가 많고, 문맥과 음감, 어근 유추 능력이 요구됩니다.
  • 해석보다 느낌과 상상력을 통한 유희적 해독이 필요한 독서 방식입니다.

 


 

(3) 서술 방식 – 체스판 구조 + 시적 장면 + 역전된 세계관

 

《Through the Looking-Glass》의 서사는 실제 체스판의 움직임을 모티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실과 반대되는 세계의 논리를 따릅니다.

 

서술 방식의 특징

 

  1. 체스 규칙에 기반한 시퀀스 구조
    • 앨리스는 폰(Pawn)으로 시작해 퀸이 되기까지 8칸을 이동하며 성장함.
  2. 거울 속 반전 세계
    • 모든 것이 좌우 반전되어 표현되고, 등장인물들의 사고방식도 현실과 반대.
    • 예: Red QueenWhite Queen의 행동은 논리적으로 이해되지 않지만 세계 내에서는 정합.
  3. 시와 이야기의 혼합
    • 시(특히 ‘Jabberwocky’)는 이야기의 핵심을 이루며, 시적 언어가 서사에 스며듦.

 

서사는 짧은 챕터별로 구성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정교한 철학적 체계와 메타적 의미 구조를 담고 있습니다.

 


 

3. 결론 – 《Through the Looking-Glass》 원서, 읽을 만할까?

 

권장 수준

 

  • CEFR 기준 B2 (중상급자 권장)
  • Lexile 940L → 중1~중3 수준
  • 토익 750점 이상, 토플 iBT 80점 이상 권장

 

읽기 추천 대상

 

  • 언어 유희와 철학적 동화를 즐기는 독자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권을 이미 읽고 후속 세계관을 탐험하고 싶은 독자
  • 체스판과 같은 메타 구조를 분석하며 독서하고 싶은 상상력 풍부한 독자

 

추천 학습 방법

 

  1. Jabberwocky 시 전체 해석 시도 – 단어 구성과 의미 추론을 통해 언어 창의력을 확장
  2. 체스판 구조 이해하며 챕터 따라가기 – 체스 이동과 이야기 전개를 함께 보면서 논리 구조 해석
  3. 반전된 세계관을 구체적으로 정리 – 대사나 설정의 논리를 정리하면 사고 확장에 도움

 

읽기 난이도 총평

 

  • 문장은 쉽지만, 내용 해석은 깊은 추상적 이해력과 상상력이 요구됨
  • 단순히 읽기보다 해석하고 탐색해야 하는 독서 경험
  • 언어와 논리의 경계를 허무는 독특한 작품으로, 창의적 독해를 원하는 독자에게 추천

 

《Through the Looking-Glass》는 언어 유희, 논리 전복, 상상력의 자유를 집약한 고전으로, 지적이고 유쾌한 도전을 원하는 독자에게 더없이 흥미로운 원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