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문법

제한적 vs. 비제한적 관계절 (Restrictive vs. Non-restrictive Clauses): that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영어 문법 완벽 정리]

언어조아호 2025. 3. 20. 11:01

1. 서론

 

영어에서 관계절(Relative Clause)은 명사를 수식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절입니다. 관계절은 의미에 따라 제한적 관계절(Restrictive Clause)비제한적 관계절(Non-restrictive Clause) 로 나뉩니다.

제한적 관계절 (Restrictive Clause): 문장에서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없으면 문장의 의미가 달라짐.

비제한적 관계절 (Non-restrictive Clause):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없어도 문장의 기본 의미가 유지됨.

 

이 두 관계절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면 보다 명확하고 자연스러운 영어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제한적 vs. 비제한적 관계절의 개념, 차이점, 문장 구조, 실생활 활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2. 제한적 관계절 (Restrictive Clause)란?

 

제한적 관계절(Restrictive Clause) 은 문장에서 명사의 의미를 제한(한정)하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절입니다.

없으면 문장의 의미가 달라지거나 불완전해짐

쉼표(,)를 사용하지 않음

“that” 또는 “which”, “who”, “whom”을 사용 가능

 

2.1 제한적 관계절 예문

 

The book that I borrowed is very interesting.

(내가 빌린 그 책은 매우 흥미롭다.)

→ “that I borrowed”가 없으면 어떤 책을 말하는지 명확하지 않음.

 

Students who study hard get good grades.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은 좋은 성적을 받는다.)

→ “who study hard”가 없으면 어떤 학생을 말하는지 모호함.

 

The house where he was born is now a museum.

(그가 태어난 집은 현재 박물관이다.)

→ “where he was born”이 없으면 어떤 집인지 알 수 없음.

 

🚨 제한적 관계절은 문장의 필수 요소이므로 쉼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3. 비제한적 관계절 (Non-restrictive Clause)란?

 

비제한적 관계절(Non-restrictive Clause)명사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만 필수적이지 않은 관계절입니다.

없어도 문장의 기본 의미가 유지됨

쉼표(,)로 관계절을 구분

“which”, “who”, “whom”을 사용하며, “that”은 사용하지 않음

 

3.1 비제한적 관계절 예문

 

My father, who is a doctor, works at a hospital.

(내 아버지는 의사인데, 병원에서 일한다.)

→ “who is a doctor”는 추가적인 정보일 뿐, 문장의 핵심 정보는 “My father works at a hospital.”

 

London, which is the capital of England, is a popular tourist destination.

(런던은 영국의 수도인데, 인기 있는 관광지다.)

→ “which is the capital of England”는 추가적인 설명으로, 없어도 기본 의미가 유지됨.

 

We visited the museum, where we saw many historical artifacts.

(우리는 박물관을 방문했는데, 거기서 많은 역사적 유물을 보았다.)

→ “where we saw many historical artifacts”는 추가 정보이며 없어도 문장이 성립됨.

 

🚨 비제한적 관계절은 쉼표(,)를 사용하여 문장에서 구분합니다.

 


4. 제한적 vs. 비제한적 관계절 차이점 비교

구분 제한적 관계절 (Restrictive Clause) 비제한적 관계절 (Non-restrictive Clause)
문장에서의 역할 필수적인 정보 제공 추가적인 정보 제공
없을 경우 문장 의미 변화 의미가 모호해짐 문장 의미에 큰 변화 없음
쉼표 사용 여부 쉼표 사용 ❌ 쉼표 사용 ✅
사용 가능한 관계 대명사 that, which, who, whom which, who, whom (that은 사용 ❌)
예문 The car that I bought is red. My car, which I bought last year, is red.
예문 The people who live here are friendly. My neighbors, who live next door, are friendly.

 

 


5. “That”과 “Which”의 차이

 

“that”과 “which”는 모두 관계절에서 사용되지만, 문맥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 경우 That Which
제한적 관계절 사용 가능 사용 가능
비제한적 관계절 사용 불가 ❌ 사용 가능 ✅

 

The book that I borrowed is interesting. (제한적)

The book, which I borrowed, is interesting. (비제한적)

 

🚨 비제한적 관계절에서는 “that”을 사용하지 않음!

The book, that I borrowed, is interesting. (X)

 


6. 실생활 활용 예문

 

The students who passed the exam will receive a certificate.

(시험에 합격한 학생들은 자격증을 받을 것이다.)

제한적 관계절: 시험에 합격한 학생만을 의미함.

 

My friend, who lives in New York, is visiting next week.

(내 친구는 뉴욕에 사는데, 다음 주에 방문할 것이다.)

비제한적 관계절: “who lives in New York”는 단순한 추가 정보.

 

The house that we bought is very old.

(우리가 산 집은 매우 낡았다.)

제한적 관계절: 어떤 집인지 명확히 구분.

 

Our new house, which we bought last month, is very comfortable.

(우리의 새 집은 지난달에 샀는데, 매우 편안하다.)

비제한적 관계절: “which we bought last month”는 추가 정보.

 


7. 자주 묻는 질문 (FAQs)

 

Q1: 제한적 관계절과 비제한적 관계절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제한적 관계절: 문장에서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쉼표(,) 없이 사용됨.

비제한적 관계절: 문장에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쉼표(,)로 구분됨.

 


Q2: “That”과 “Which”는 언제 사용해야 하나요?

“That”: 제한적 관계절에서 사용 가능.

“Which”: 제한적 & 비제한적 관계절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비제한적 관계절에서는 쉼표 필요.

 


Q3: “Who”와 “Which”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Who”: 사람을 수식할 때 사용.

“Which”: 사물이나 동물을 수식할 때 사용.

 

The woman who helped me was kind.

The book which I borrowed was interesting.

 


8. 결론

제한적 관계절(Restrictive Clause)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쉼표(,) 없이 사용됨.

비제한적 관계절(Non-restrictive Clause)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쉼표(,)로 구분됨.

제한적 관계절에서는 “that”과 “which”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비제한적 관계절에서는 “which”만 사용 가능.

 

이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면 보다 자연스럽고 정확한 영어 문장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