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영어에서 사역동사(Causative Verbs) 는 다른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거나 유도할 때 사용되는 동사입니다. 사역동사는 주어가 직접 행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어떤 일을 하게 만드는 상황을 나타내며, 문장에서 특정한 패턴을 따릅니다. 본 글에서는 사역동사의 개념, 종류, 문장 구조, 그리고 실생활에서의 활용 예문을 자세히 정리하겠습니다.
2. 사역동사(Causative Verbs)란?
사역동사는 말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특정한 행동을 하도록 하거나 어떤 결과를 유발하는 동사를 의미합니다.
2.1 사역동사의 역할
• 주어가 직접 행동하지 않음
• 다른 사람이 행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함
• 문장에서 특정한 패턴을 따름
2.2 대표적인 사역동사
사역동사 | 의미 | 예문 |
Make | 강제로 ~하게 하다 | She made me clean my room. |
Have | 자연스럽게 ~하도록 하다 | I had my assistant book the tickets. |
Get | 설득하여 ~하게 하다 | He got his brother to help him. |
Let | 허락하여 ~하게 하다 | My mom let me go to the party. |
3. 주요 사역동사의 용법
3.1 Make (강제로 ~하게 하다)
“Make + 목적어 + 동사원형” 구조로 사용되며, 강제성을 의미합니다.
예문:
• The teacher made the students study.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공부를 시켰다.)
• His joke made us laugh. (그의 농담이 우리를 웃게 만들었다.)
🚨 주의: “Make”는 반드시 동사원형과 함께 사용됩니다.
3.2 Have (자연스럽게 ~하도록 시키다)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구조로 사용되며, 자연스럽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킬 때 사용됩니다.
예문:
• I had my secretary schedule the meeting. (비서에게 회의를 잡도록 했다.)
• She had the waiter bring some water. (웨이터에게 물을 가져오게 했다.)
🚨 주의: “Have”는 동사원형을 사용하지만, 수동태 구조에서는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 I had my hair cut. (나는 머리를 잘랐다.)
• She had her car fixed. (그녀는 차를 고쳤다.)
3.3 Get (설득하여 ~하게 하다)
“Get + 목적어 + to 부정사” 구조로 사용되며, 상대방을 설득하거나 유도하여 행동하게 만듭니다.
예문:
• He got his friend to help him. (그는 친구를 설득해서 도와주게 했다.)
• I got my parents to agree to the trip. (부모님을 설득해서 여행을 허락받았다.)
🚨 주의: “Get”은 반드시 to 부정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3.4 Let (허락하여 ~하게 하다)
“Let + 목적어 + 동사원형” 구조로 사용되며, 허락을 의미합니다.
예문:
• My father let me drive his car. (아버지가 나에게 차를 운전하게 허락하셨다.)
• The teacher let the students leave early. (선생님이 학생들이 일찍 떠나도록 허락하셨다.)
🚨 주의: “Let”은 동사원형을 사용하며, “to 부정사”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 ❌ Let me to go. (X)
• ✅ Let me go. (O)
4. 사역동사의 비교 및 문장 구조
사역동사 | 문장 구조 | 의미 | 예문 |
Make | Make + 목적어 + 동사원형 | 강제적으로 ~하게 하다 | She made me do my homework. |
Have |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 자연스럽게 ~하도록 시키다 | I had him repair my phone. |
Get | Get + 목적어 + to 동사원형 | 설득하여 ~하게 하다 | He got me to join the club. |
Let | Let + 목적어 + 동사원형 | 허락하여 ~하게 하다 | My boss let me leave early. |
5. 사역동사의 수동태 (Passive Voice)
사역동사는 수동태로 변형될 수 있습니다. 수동태로 바뀌면 목적어가 주어가 되고, 동사는 “to be + 과거분사” 형태로 바뀝니다.
5.1 Make의 수동태
• 능동태: The boss made him clean the office.
• 수동태: He was made to clean the office (by the boss).
5.2 Have의 수동태
• 능동태: I had the mechanic fix my car.
• 수동태: I had my car fixed.
5.3 Get의 수동태
• 능동태: She got them to paint the house.
• 수동태: She got the house painted.
🚨 주의: “Let”은 일반적으로 수동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FAQs)
Q1: “Make”와 “Have”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Make”는 강제성이 강한 반면, “Have”는 자연스럽게 시키는 뉘앙스가 있습니다.
• She made me study. (강제로 공부하게 했다.)
• She had me study. (공부하도록 시켰다.)
Q2: “Get”과 “Have”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Get”은 설득하여 행동을 유도할 때 사용하고, “Have”는 자연스럽게 행동하도록 할 때 사용됩니다.
• I got him to fix my phone. (설득해서 고치게 했다.)
• I had him fix my phone. (자연스럽게 시켰다.)
Q3: 사역동사 뒤에 동사원형과 to 부정사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Make, Have, Let → 동사원형 사용
• Get → to 부정사 사용
Q4: “Let”의 수동태 문장은 어떻게 만드나요?
• 일반적으로 “Let”은 수동태로 사용되지 않지만, “be allowed to”로 바꿀 수 있습니다.
• 능동태: My mom let me go out.
• 수동태: I was allowed to go out (by my mom).
7. 결론
사역동사는 다른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거나 허락할 때 사용하는 중요한 문법 요소입니다. 각 사역동사의 의미와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면 영어 문장을 더욱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